This version of the page http://www.voakorea.com/a/1731080.html (0.0.0.0) stored by archive.org.ua. It represents a snapshot of the page as of 2016-08-15. The original page over time could change.
한국, 23일 이산가족 실무접촉 제의...유엔, 대북지원 예산 1억달러 요청

연결 가능 링크

  • 메인 콘텐츠로 이동
  • 메인 네비게이션으로 이동
  • 검색으로 이등
  • Learning English
언어 선택
한반도 브리핑

한국, 23일 이산가족 실무접촉 제의...유엔, 대북지원 예산 1억달러 요청

  • 이연철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이메일 공유
한반도 주요 뉴스를 정리해 드리는 ‘한반도 뉴스 브리핑’ 시간입니다. 이연철 기자 나와 있습니다.

진행자) 한국 정부가 오늘(16일)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남북 적십자 실무접촉을 북한에 공식 제의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에서 이산가족 상봉을 제의한 데 따른 후속조치인데요, 이 소식부터 알아보죠?

기자) 한국 정부가 오늘 판문점 연락채널을 통해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실무접촉을 북한에 제의했습니다. 날짜와 장소로는 오는 23일 판문점 평화의 집을 제시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순수한 인도적 사안인 이산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북한이 실무접촉에 적극적으로 응해 오길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진행자) 아직 북한 측 반응은 나오지 않았지요?

기자) 네, 북한은 판문점 마감통화 때까지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지난 달 개성공단 실무회담 과정에서 이산가족 상봉 문제를 협의하자고 먼저 제안해온 만큼 한국 정부의 제의에 호응해올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입니다. 북한이 회담에 호응해올 경우, 실무접촉에서는 이산가족의 상봉 시기와 장소, 규모 등이 논의될 전망입니다. 이후 상봉자 명단을 교환하고 생사 확인까지 거치려면 실제 이산가족 상봉까지는 최소한 한 달가량은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진행자) 남북 이산가족 상봉은 지난 2010년을 마지막으로 3년 가까이 끊겨 있는 상황이지요?

기자) 맞습니다. 북한의 잇따른 도발로 인해 남북관계가 극도로 경색됐기 때문입니다. 그 이전인 2000년부터 2010년까지 해마다 두 세 차례, 모두 18 차례의 상봉 행사를 통해 모두 4천3백21가족, 2만1천7백34 명이 만났습니다.

진행자) 헤어진 가족을 만난 사람보다 못 만난 사람들이 더 많겠네요?

기자) 맞습니다. 지난 1988년부터 한국 통일부 이산가족정보통합센터에 등록을 시작한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는 모두12만8천여 명. 이 중 43%인 5만5천여 명은 이미 세상을 떠났고, 현재 7만3천여 명만 생존해 있습니다. 성별로는 남성이 77세, 여성은 이보다 조금 높은 79세로 나타났고, 생존자 가운데 70세 이상 고령이 전체의 80%로 파악됐습니다. 이에 따라 이산가족 상봉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진행자) 한국의 박 대통령은 이산가족 상봉과 함께 비무장지대 세계평화공원 조성도 북한에 제의했는데요, 이 문제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요?

기자) 정부 차원의 기본계획은 이미 어느 정도 만들어진 상태라는 게 한국 통일부 설명입니다. 지난 5월8일 박 대통령이 미국 방문 중에 구상을 처음 밝힌 후 통일부가 전담기획단을 구성해서 구체화 작업을 진행해왔고, 현재 개략적인 계획은 마련돼 있다는 것입니다. 통일부는 앞으로 조성 계획에 대한 보완을 거쳐 가장 실현 가능성이 큰 방안을 갖고 적절한 시점에 북한 측에 협의를 제안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진행자) 비무장지대 세계평화공원에 대해 북한 측은 어떤 반응인가요?

기자) 지금까지는 부정적인 입장인데요, 지난 2007년 노무현 당시 한국 대통령이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과의 남북정상회담에서 비무장지대 내 군사시설을 철수하고 평화적으로 이용하자고 제안했지만 김정일 위원장은 아직 때가 아니라며 거부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박 대통령이 지난 5월 미국 의회에서 평화공원 구상을 밝혔을 때도 북한은 민족에 대한 참을 수 없는 모독이라며 냉담한 반응을 보였습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그러나 개성공단 정상화 합의가 이뤄진 뒤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다며, 북한이 어떻게 나올 지는 두고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진행자) 한반도 뉴스 브리핑 전해 드리고 있습니다. 계속해서 다음 소식 알아보죠?

기자) 북한 김정은 체제가 당과 군 조직을 장악하면서 외견상 안정적으로 권력 공고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는 게 일반적인 평가라고, 한국 외교부가 밝혔습니다. ‘2013 외교백서’ 내용인데요, 북한이 ‘생눈길 정신’이나 ‘자력갱생’ 등 과거지향적인 구호를 부쩍 강조하면서 뚜렷한 제도 변화 없이 평양 시내 미화나 놀이공원 정비 등 전시성 사업에 자원을 투입했다며 이같이 분석했습니다.

진행자) 이번에는 개성공단 소식 알아보죠. 현대아산이 개성공단 재개 준비에 바짝 힘을 쏟고 있지요?

기자) 네, 현대아산 측은 구체적인 시설점검 계획을 세우는 등 방북 준비를 서두르고 있습니다. 방북을 준비 중인 현대아산 측 인원은 개성공단 관련 실무자 20여 명으로 이들 가운데 상당수는 마지막까지 개성공단 현장을 지키다 공단 폐쇄와 함께 철수한 지원 인력입니다. 이들이 선발대로 먼저 들어가 기본적인 시설점검을 마무리하면 사업부문 인력이 대거 방북해 본격적인 공단 재가동이 추진될 것으로 보입니다.

진행자) 남북한이 개성공단 정상화에 합의하면서 금강산 관광 재개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금강산 관광 재개 문제는 개성공단 재가동 실무회담 과정에서 이미 거론이 됐습니다. 그러나 개성공단 문제가 우선이라는 남측의 주장과 이에 대한 북측의 맞대응 전략 탓으로 논의되지 못했는데요, 개성공단 재가동이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새로운 여건이 조성되고 있다는 기대감이 부풀고 있습니다.

진행자) 유엔이 대북 인도적 지원을 위해 약 1억 달러가 당장 필요하다고 밝혔는데요, 좀 더 구체적으로 전해주시죠?

기자) 북한 내 유엔 기구들의 협의체인 ‘유엔 국가팀’이 어제 보고서를 발표하고, 대북 인도적 지원을 위해 미화 9천8백만 달러가 시급히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올해 유엔 기구들이 대북 지원을 위해 필요로 하는 총 예산은 1억5천만 달러이지만, 6월15일까지 약 35%인 5천2백17만 달러만 확보됐다는 것입니다.

진행자) 그런데, 유엔이 대북 지원자금을 모금하는데 정치적 환경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요?

기자) 네, 북한 내 유엔의 활동을 총괄하고 있는 굴람 이작싸이 유엔 상주조정관이 어제 (15일) `VOA'와의 인터뷰에서 그같이 말했는데요, 제재 때문에 대북 지원을 하지 않겠다고 밝힌 나라는 없지만, 북한에 우호적이지 않은 정치적 환경이 원조국의 기부 의욕에 영향을 준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습니다.

진행자) 한국의 대한적십자사가 올해도 북한에 대한 수해 지원에 나서는데요, 마지막으로 전해 주시죠?

기자) 대한적십자사는 최근 국제적십자사연맹이 대북 수해 지원에 참여해 줄 것을 요청해 와, 구호물자 구매에 필요한 10만 달러를 지원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대한적십자사는 지난 해에도 국제적십자사연맹을 통해 북한 지역의 수해 복구에 10만 달러를 지원했습니다.

진행자) 한반도 뉴스 브리핑, 이연철 기자였습니다.
Back to top
XS
SM
MD
LG